티스토리 피드글의 네이버 킵으로의 담기방법
티스토리에서 글을 클릭해 들어가면,
바로 담는데, 좌하단에 공유하기 버튼이 있다.
공유버튼을 누르고 거기서 네이버 킵을 선택해서 담을 수 있는 것.
네이버 킵으로의 접근은
바탕화면에 네이버킵 바로가기를 두어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웹브라우저에서
네이버 킵으로 들어가서
바로가기를 바탕화면에 만들어두면 비교적
손쉽게 네이버 킵을 이용할 수 있있다. 1)
그러면 티스토리에서 보려는 글을 담아두고서
담아둔 글을 네이버 킵을 통해서 볼 수 있다.
피드글과 공유기능을 이용한 글담기
스크랩할 수있는 공간은 많다.
네이버 웨일의 스크랩북이나 크롬의 포켓을 활용할 수 있지만.
글을 담아두고서 보고난 뒤에 다시 스크랩을 하는 것은
글을 읽고난 뒤에 스크랩해서 나중에 볼 정보인지 다시 재분류하는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pc에서 네이버 킵으로 담는것은 뷸편하다
모바일에서의 학장적인 공유기능이 없기 때문.
그런 점에서 모바일에서의 구독한 글의 피드 기능이
생긴것은
웹 티스토리 |
피드 o 구글킵공유기능 x |
피드글-구글킵 연결 미흡 |
모바일 티스토리 |
피드 o 구글킵공유기능 o |
피드글-구글킵 으로의 연결 |
이렇게 티스토리의 피드글의 연결성이 높아지게 된 것이다.
이런 방식을 이용하면
피드글기능과 공유기능의 여건이 된다면,
다른 블로그들도 활용할 수 있다.
스크랩공간 구조구성
스크랩할 수있는 공간은 많다.
네이버 웨일의 스크랩북이나 크롬의 포켓을 활용할 수 있지만.
글을 담아두고서 보고난 뒤에 다시 스크랩을 하는 것은
글을 읽고난 뒤에 스크랩해서 나중에 볼 정보인지 다시 재분류하는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2단계의 공간이 요구되는데,
1단계 일단 볼만한 글
2단게 보고난뒤에 보관해 두려는 글
+단계는 스크랩해둔 정보를 정리하는 것으로,
스프레드시트로 옮기던 하는 기능인데.
이점에서 웨일의 스크랩북이 독보적인 기능을 가진다.
스크랩해 둔것을 드래그해서 붙이기만 하면,
각 text의 제목에 url이 유지된 채로 제목이 복사되기때문.
그래서 제목만 클릭하면, 해당글의 인터넷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그에 반면 포켓의 경우 포켓으 페이지로 이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