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청소년의 눈으로본 사회의 추악함
한500번은 웃은 것 같다.
청소년의 시각에서 보면,
사회라는게 얼마나 엉망진창인지 보여준다.
샤를 보를레는 악의 꽃을 통해
사회가 속이다 썩어문들어진 사회도 경제가 유지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지만,
경제학의 원리라는것부터가 그냥 그런 인식구조인 경우의 사회가
어떻게 유지되도록 만드느냐의 것이다.
다른 인식구조를 가지고, 서로 다른 공간에 있다.
잘 적응하지 못할 수 밖에 없었던건 당연한 일이라면 당연한 일이다.
아마 자퇴나 전학이라지만, 퇴사나 이직같은 느낌이었을 뿐.
흔히 말하는 사회적 낙인 처럼, 문제있는 것처럼 여기는 것부터 문제있다.
그럴 자격자체가 없으니 말이다.
일반적으로 어른이 된다는 것은 어릴적의 인간성을 상실한 괴물로 전락해 가거나,
그런 사회에서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길을 구축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방황하게 되는데에는, 너무 외부에 시각을 빼앗겼기때문이다.
외부의 것이 아니라 자신이 보고자 하는 것들을 보는 것이지만.
본래 청소년들은 스스로 생각하기보단, 외부에대해 보고 배우는 때니 말이다.
그게 뭐하나 보고 배울것없는 더러운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방황이 숭고한 이유이다.
이런걸 보면 사회가 마냥 좋다고만 말하는 것은 얼마나 무책임한 일인가?
얼마나 사회가 더러우며, 그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는 가치가 있는지라던가를
제시하는 것이 훨씬 제대로된 교육이다.
물론 더러운 것을 제스스로 더럽다고 할 리는 없을 것이다.
상대에 대해 더럽다고는 하지만, 어떤점에서 그런제 제대로 말할리도 마찬가지지만.
살아있다는 것 자체에는 그외에 아무런 의미도 없다어서,
어떻게 사는지가 중요하다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일부러 추악해질이유는 없을 것 같지만.
추악한 본질을 방치하면 그럴 수 밖에는 없는 것이다.